▲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 |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즉위 40주년을 기념하여 1902년에 세운 비석으로, 사적 제171호이다.
서울의 중심인 광화문 광장 한복판에 우뚝 서 있는 이순신 장군 동상과 동상의 오른쪽 광화문 교보빌딩 앞에는 작지만 평범해 보이지 않는 비각이 하나 있다. 광화문 네거리를 오가는 수많은 사람의 무관심 속에서도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이 비각 안에는 비석이 하나 보관되어 있다.
이 비석은 조선의 제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이 왕위에 오른 지 40년이 된 것을 기념하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의 칭호를 쓰게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고종은 1863년에 왕위에 올랐는데, 이 비석이 세우진 것은 1902년(광무 6년)이다. 이 해는 12살의 나이로 고종이 왕위에 오른 지 40주년이 되는 해이자 망육순(望六旬: 51세)을 맞는 해였다.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은 황제로서의 권위를 세우기 위하여 즉위 40주년을 기념하는 비석과 비각을 세우고, 기념장과 기념 우표도 발행하였다.
이 비석의 본래 명칭은 ‘대한제국대황제보령망육순어극사십년칭경기념비’(大韓帝國大皇帝寶齡望六旬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라는 아주 긴 이름인데, 줄여서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라고 부른다. 여기서 ‘칭경(稱慶)’은 ‘경사를 기뻐하다.’라는 뜻이다.
우선 비석을 보관하고 있는 전각인 비각만 살펴보아도 조선 시대의 그 어떤 비각에 비해서도 화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각에는 ‘기념비전(紀念碑殿)’이라는 황금색의 화려한 현판이 달려 있고, 정면 3칸, 측면 3칸의 비각으로서는 아주 큰 규모이다.
비각 아래를 지탱하는 돌계단에는 해태가 있고, 사방을 둘러싼 돌난간 위에는 십이지신상을 방위에 맞게 조각하였다. 이러한 양식은 경복궁 근정전처럼 궁궐의 전각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비각 앞에는 ‘만세문(萬勢門)’이라고 새겨진 무지개 모양의 문도 세워져 있다. 돌로 된 네 개의 기둥으로 삼문(三門)을 만들고, 문마다 철로 만든 쇠문이 달려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가운데 기둥 위에는 주작, 양쪽 문 위에는 해태가 새겨져 있다. 이처럼 만세문은 다양한 문양과 조각이 새겨져 있어 화려함은 물론 범접할 수 없는 기품까지 느껴질 정도이다.
▲ 만세문
비각 안의 비석은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세워져 있으며, 높이는 4.5미터에 이른다. 비문의 글씨는 순종이 황태자 시절에 쓴 것이며, 지붕돌에는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과 용무늬가 새겨져 있다.
비문의 내용은 원구(환구단)에서 하늘에 제사를 올리고 황제가 되었으며 나라 이름을 ‘대한’으로 하고 연호를 ‘광무’라고 한 사실과 황제가 등극한 지 40년이 되고 고종의 나이가 망육순(51세)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세운다는 내용이다.
▲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 도로원표 | 만세문 오른쪽에 있다.
비각 바로 옆에는 ‘도로원표’가 있다. 도로원표는 서울에서 전국으로 뻗는 도로의 기점이자 서울로부터의 거리를 재는 기준점인데, 본래 1914년 일제 강점기에 만든 것을 현재 위치로 옮긴 것이라고 한다. 본래는 이순신 장군 동상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고종 즉위 40년 칭경기념비는 사적 제171호에 지정되어 있다.
'우리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를 대표하는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0) | 2023.09.19 |
---|---|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 (0) | 2023.09.19 |
조선 왕실의 후원이 있던 곳, 서울 경모궁지(함춘원지) (0) | 2023.09.19 |
삼국 시대의 산성, 하남 이성산성 (0) | 2023.09.19 |
강릉시를 대표하는 전통 가옥, 강릉 선교장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