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76) 썸네일형 리스트형 근대 조각의 선구자, 부르델 ▲ 에밀 앙트완 부르델(1861~1929) ▲ 이란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부르델은 로댕(1840~1917), 마욜(1861~1944)과 함께 ‘현대 조각의 3대 거장’으로 불리기도 하는 현대 조각의 중요한 선구자로 손꼽힌다. 프랑스의 작은 도시인 몽토방에서 태어난 그는 툴루즈 미술 학교를 다니며 어릴 때부터 미술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였다. 파리로 올라와 당시 세계 최고의 미술 학교로 꼽히던 파리 에콜 데 보자르에 입학하였고, '근대 조각의 아버지'로 불리는 로댕의 수제자가 되었다. 그 후 무려 15년 동안이나 로댕의 작업실에서 생활하였다. ▲ ▲ ▲ 조각뿐만 아니라 그림과 데생에도 능하였던 부르델은 스승인 로댕의 영향을 받는 데에 만족하지 않고 고대 그리스와 로마네스크의 예술 형식을 재해석하여.. 인조반정 때 칼을 씻었다는, 세검정 ▲ 세검정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호 서울시 종로구 홍지동에 있는 상명대학교 입구인 세검정 삼거리를 지나가다 보면 서울에서는 아주 유명한 '세검정'이라는 정자 하나가 있다. 서울시 종로구 신영동에 있는 세검정은 홍제천 바로 옆에 세워진 정자이다. 세검정 삼거리를 가운데에 두고 왼쪽으로는 홍지문과 탕춘대성이 있고 오른쪽에는 세검정이 있는데, 두 곳의 거리는 불과 걸어서 5분 거리이다. 한양 도성의 북소문인 창의문(일명 자하문)에서 가까운 이 동네는 북악산과 삼각산(북한산) 사이에 있으며 아주 옛날부터 계곡이 있어 시원하고 경치가 빼어나기로 유명한 곳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문학 작품 속에도 자주 등장하는데, 정약용이 지은 이란 시가 대표적이다. ‘세검정에서 노닐다’라는 뜻의 이 시는 정약용의 저.. 조선 시대 성곽과 성문, 홍지문과 탕춘대성 ▲ 홍지문 서울시 종로구 홍지동 산 4번지, 상명대학교 입구 근처에 있는 홍지문과 탕춘대성은 1719년(숙종 45년)에 세워졌다. 탕춘대성(湯春大城)은 한양 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여 세운 성으로, 홍지문(弘智門)은 탕춘대성을 출입하기 위한 성문이다. ▲ 안쪽에서 본 홍지문 탕춘대성이란 이름은, 홍지문 근처 세검정 동쪽 봉우리(현재 세검정초등학교 자리)에 탕춘대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탕춘대(蕩春臺)는 연산군 때에 만든 건물로, 연산군은 이곳에서 자주 연회를 베풀었다고 한다. 한양 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탕춘대성의 성곽 둘레는 약 4킬로미터이고, 홍지문은 우진각지붕에 정면 3칸, 측면 2칸짜리 문루를 갖춘 성문이다. 홍지문 옆에는 바로 옆으로 홍제천이 흐르는데 이 물이 빠져나갈 .. 국보 제3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이 비석은 삼국 시대에 만든 것으로, 신라 제24대 왕인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에 이 지역을 둘러보고서 북한산에 세운 비석이다. 여기서 ‘순수(巡狩)’란 왕이 나라 안을 두루 보살피며 돌아다닌다는 뜻이다. 쉽게 말해 순수비는 왕이 살피며 돌아다닌 곳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란 뜻이다. 신라의 진흥왕(재위 540~576년)은 6세기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영토를 크게 넓히고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한 왕이다. 진흥왕 때에 신라는 낙동강 유역의 가야를 완전히 병합하였고, 한반도의 중심인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서해안을 통한 중국과의 원활한 교류가 가능하도록 교두보를 확보하였다. 진흥왕은 크게 넓어진 영토를 직접 다니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비석을 세웠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진흥왕 순.. 국보 제86호, 경천사지 10층 석탑 서울시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1층으로 들어서면 가장 안쪽에 거대한 탑 하나가 우뚝 서 있다. 바로 국보 제86호인 경천사지 10층 석탑이다.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회색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13.5미터에 이른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탑은 본래 개성시 개풍군 부소산에 있던 경천사라는 사찰 안에 세워진 탑이다. 이 탑은 1909년에 우리나라에 와 있던 일본 궁내대신 다나카 미쓰아키라는 사람이 일본으로 불법적으로 반출했다가 비난이 일자 1918년에 다시 우리나라로 반환된 역사가 있다. 그 후 경복궁 안에 세워져 있다가 2005년에 용산에 국립중앙박물관이 건립되면서 이곳으로 옮겨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탑에는 고려 말기인 충목왕 4년(1348년)에 만들었다는 글이 새겨져 .. 양녕대군 묘소와 사당, 지덕사(양녕대군 이제 묘역) ▶ 지덕사 |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1호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 지하철 7호선 상도역에서 국사봉 터널 쪽으로 쭉 올라가다 보면 오른쪽에 잘 단장된 한옥 건물들이 보인다. 이곳이 바로 조선 제3대 왕 태종(이방원)의 첫째 아들이자 제4대 왕 세종대왕의 맏형인 양녕대군 이제(1394~1462)의 묘소와 사당이 있는 지덕사이다. 정확한 문화재 명칭은 '양녕대군 이제 묘역'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호에 지정되어 있다. 주소는 서울시 동작구 양녕로 167로, 지덕사 바로 앞에 있는 도로명의 이름이 양녕로인 까닭이 바로 이곳에 양녕대군의 묘소와 사당이 있기 때문이다. 지덕사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국사봉 터널이 있는데, 국사봉은 관악구 봉천동과 동작구 상도동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179미터의 궁교산이란 작.. 행주대첩의 역사적 현장, 행주산성 ▲ 권율 장군 동상 | 행주산성의 정문인 대첩문으로 들어오면 바로 보인다. 사적 제56호에 지정되어 있는 행주산성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토성으로, 임진왜란 중 3대첩으로 꼽히는 행주대첩이 벌어진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이 거둔 가장 큰 승리로 평가받는 3대첩은 이순신 장군의 한산도대첩, 김시민 장군의 진주대첩, 그리고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이다. ▲ 행주산성 정상에 있는 덕양정 | 한강과 인근 지역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 행주산성 정상에서 바라본 서울 방향 | 멀리 북한산 백운대와 인수봉까지 보인다. 이곳이 군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곳인지를 알 수 있다. ▲ 덕양정에서 바라본 한강 방면 1593년 2월, 행주산성에 주둔해 있던 도원수 권율(1537~1599)이.. 홍난파가 살았던 집, 홍파동 홍난파 가옥 ▲ 홍파동 홍난파 가옥 | 등록문화재 제90호 지하철 서대문역과 독립문역 사이의 서울시 종로구 홍파동에 있는 홍난파 가옥은 , , , 등의 노래를 작곡한 홍난파(1898~1941)가 말년을 보낸 작은 집이다. 이 집은 1930년에 독일계 선교사가 지은 서양식 벽돌 건물로 홍난파가 인수하여 살던 곳이다. 당시 서양식 주택의 특징이 드러나 있는 등 근대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90호에 지정되어 있다. 주택은 지상 1층, 지하 1층의 붉은 벽돌로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가까운 곳에 독일 영사관이 있어서 부근에 독일 사람들이 많이 살았다고 한다. 현재는 다 없어지고 이 집만 남아 있다. 내부에는 홍난파 선생에 관련된 자료와 사진 등을 전시하고 있는데, 홍난파 선생은 일제 강점기에 보였던..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