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리 문화유산

(166)
한양 도성의 사소문(四小門) 한양 도성의 8개 문 ▲ 한양 도성과 사대문, 사소문의 위치 | 한양 도성은 네 개의 산(북악산, 인왕산, 낙산, 남산)을 이어서 쌓은 성곽임을 알 수 있다. ▲ 북악산의 한양 도성 성곽 | 인왕산 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태조 이성계가 창업한 조선 왕조는 고려 왕조의 수도인 개경을 떠나 한양을 나라의 새로운 도읍으로 정하고, 도읍의 경계에 성곽을 쌓아 도성을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서울에 남아 있는 한양 도성이다. 위의 그림을 살펴보면 당시에 한양 도성은 네 개의 산(북악산, 인왕산, 낙산, 남산)을 이어서 쌓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양 도성을 감싸고 있는 이 4개의 산을 가리켜 '내사산'이라고 한다. 도성의 성곽을 쌓으면서 당연히 도성을 드나들 수 있는 성문도 지었다. 도성의 동서남북으로 ..
조선왕조의 사당, 종묘 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왕실의 사당 ▲ 정전 | 종묘의 중심 건물이다.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나서 곧바로 궁궐(경복궁)과 함께 종묘, 사직을 세울 것을 명하였다. 우리가 흔히 사극 드라마를 보면 '종묘사직'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하는데 ​여기서 종묘란 왕실의 사당을 말하며, 사직은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풍년을 빌며 제사를 지내던 제단인 사직단을 말한다. 유교 사회에서는 왕이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하면 궁궐의 왼쪽에 종묘를 세우고, 오른쪽에 사직을 세우는 것이 법도였다. 그래서 흔히 ‘종묘사직’이라고 하면 왕실 또는 국가 그 자체를 가리킬 정도로 종묘와 사직은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특히 종묘는 역대 조선왕조의 임금과 왕비의 신..
강감찬 장군이 태어난 곳, 낙성대 ▲ 낙성대 공원에 우뚝 솟아 있는 강감찬 장군 동상 1. '고려의 영웅' 강감찬은 어떤 인물인가? 서울시 관악구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 근처에 있는 낙성대는 고려 시대의 명장인 강감찬 장군(948~1031)이 태어났다고 알려진 곳이다. 이곳에는 강감찬 장군의 사당(안국사)와 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보통 낙성대라고 하면 이 사당인 안국사를 가리키기도 하고 이 일대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가 태어나던 날 밤, 하늘에서 큰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낙성대’라는 이름이 전해오고 있다. 강감찬 장군은 고려 초기에 거란의 침략을 받아 위기에 처한 고려를 구한 민족의 영웅이다. 거란이 수십 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에 쳐들어오자, 그는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 용감히 싸웠다. 이때 살아남은 거란의 병사가 불과 수천 명에 불과..
세계문화유산에 빛나는 조선의 궁궐, 창덕궁 1. 조선의 역대 왕들이 가장 오래 머무른 궁궐 ▲ 돈화문 | 창덕궁의 정문이다. 조선 왕조를 창업한 태조 이성계는 도읍을 한양으로 정하고 으뜸 궁궐(법궁)인 경복궁을 지었다. 그리고 제3대 왕인 태종은 경복궁 외에 또 하나의 궁궐을 짓도록 명령하였다. 그리하여 완성된 것이 바로 창덕궁이다. 태종 이방원에게 경복궁은 어떤 곳일까? 왕위에 오르기 전 1차, 2차 왕자의 난으로 피바람을 일으키며 정적들과 형제들을 무참히 죽였던 궁궐이 아닌가? 게다가 이방원에게 최대 정적이었던 바로 그 정도전이 설계한 궁궐이기도 하였다. 태종에게 그런 경복궁에 머무르는 것은 정말 불편한 일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그런 연유로 창덕궁을 짓지 않았을까? ​ 그렇게 하여 1405년(태종 6년) 창덕궁이 완성되었다. 비록 두 번째로 ..
조선 왕조의 으뜸 궁궐, 경복궁 1. 조선의 제일 궁궐인 경복궁 ▲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 광화문과 해태상 조선왕조의 도읍지였던 서울에는 오늘날에도 그 자취가 많이 남아 있다.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는 도읍을 한양으로 정하고, 그곳에 나라의 기틀을 새롭게 다지기 위하여 궁궐을 지었다. 이곳이 바로 경복궁이다. ​ ‘큰 복을 누리다.’라는 뜻을 가진 경복궁(景福宮)은 조선 왕조를 대표하는 제일의 궁궐로, 600년 이상의 역사와 함께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궁궐 안의 여러 건물들은 왕이 머무르는 공간인 만큼 당시에 나라에서 으뜸가는 규모와 기술로 지어졌다. ​ 경복궁 안의 여러 건물들은 크게 왕과 신하들이 나랏일을 보는 공간과 왕족들의 생활공간, 휴식을 즐기는 후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건물들은 모두 매우 짜임새 있게 계..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현장, 남영동 대공분실 1.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현장 혹시 이런 말을 들어봤는가? ‘탁!’ 하고 치니 ‘억!’ 하고 죽었다!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상징적 사건, 대표적인 민주화 운동으로 기억되는 1987년 6월 민주화 운동(6월 항쟁)의 출발점이 된 사건을 단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 그 사건은 바로 '故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이다. 이 사건은 2017년 개봉했던 영화 의 모티브이기도 하며, 당시 군부 정권과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실체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건이다. 사건의 대략적인 내용은 이러하다. 1979년 말부터 1980년 초에 걸쳐 12.12 쿠데타 사건과 광주민주화운동을 강제로 진압하며 정권을 잡은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은 전두환의 7년 임기가 끝날 무렵이 되자 정권 연장을 꿈꾼다. 이에 항거하여 일어난 6월 민주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