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76)
공주의 대표적인 문화재, 무령왕릉과 송산리 고분군 ▲ 송산리 고분군 전경 | 사적 제13호에 지정된 백제의 왕릉군이다.​ ​ ​ 1. 무령왕릉의 의의와 가치 무령왕릉은 백제의 제25대 왕인 무령왕과 그의 왕비의 무덤으로, 공주시에 있다. 우리나라 역사를 배우면서 백제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무덤이다. 이 무덤의 주인인 무령왕에 대해서 잠깐 살펴보자. 무령왕(461~523)은 백제의 제25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501년부터 523년까지이다.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무령왕릉은 삼국시대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모든 고대 왕릉 중에서 무덤이 주인이 아주 명확하게 밝혀진 유일한 무덤이다. 대부분의 고대 왕릉은 기록이나 여러 역사적 사실에 따라 무덤의 주인을 추정하는 데 비해, 무령왕릉은 실제로 무덤을 발굴하였고 그 과정에서 ..
백제를 대표하는 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국보 제9호에 지정되어 있는 백제의 석탑이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던 부여에 정림사라는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이다. 현재 위치는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부여읍)으로 정림사라는 절터에 남아 있다.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현재 2기만 남아 있는 백제 시대의 석탑이자 가장 오래된 석탑 중 하나로서 그 가치가 아주 높다. 본래 이 석탑은 정림사라는 절 안에 세워졌지만, 백제의 멸망과 함께 절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이 탑만 남았다. 훗날 이 절터에서 ‘정림사’라는 이름이 들어간 기와들이 출토되어 절의 이름이 정림사라는 것이 밝혀졌다.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현재 남아 있는 석탑 중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 중 하나..
흥선 대원군의 집이자 고종의 잠저, 운현궁 ▲ 운현궁 전경 | 사적 제257호에 지정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운현궁(雲峴宮)은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 대원군(1820~1898)이 살았던 저택이다. 그리고 그의 아들이자 조선의 제26대 왕인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어린 시절을 보냈던 집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운현궁은 흥선 대원군의 집이자 고종의 잠저(潛邸: 왕세자가 아닌 사람이 왕위에 오르기 전 살았던 집)인 셈이다. 흥선 대원군은 아들인 고종이 12살의 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어린 왕을 대신하여 섭정(왕을 대신하여 나라를 다스림)을 시작하였다. 무려 60여 년 동안 이어졌던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등의 세도정치가 끝나고 바야흐로 흥선 대원군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흥선 대원군은 무려 10년 동안 정권을 잡고 운현궁에 머무르며 여..
한양 도성의 남쪽 대문, 서울 숭례문 ​ ​▲ 2013년 복구된 숭례문 지난 2022년부터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국보와 보물의 지정번호가 사라졌지만, 숭례문은 오랫동안 우리나라 국보 제1호로서 마치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상징처럼 여겨졌다. 숭례문은 지금으로부터 약 630년 전인 1396년에 세워졌다. 조선 왕조를 개국한 태조 이성계의 명령으로 한양 도성이 지어졌고, 그 한양 도성의 4대문 중 남쪽 대문으로 지어진 것이다. 숭례문이란 이름에 ‘예(禮)’ 자가 들어간 것은 오행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당시 한양 도성의 4대문과 보신각의 이름에는 유교에서 말하는 오행, 즉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한 글자씩 들어가 있는데 이중에서 ‘예(禮)’가 들어갔다. ‘숭례(崇禮)’는 말 그대로 ‘예를 숭상하다’라는 뜻이다. 숭례문은 그 후..
대한제국의 상징, 환구단 ▲ 황궁우 | 환구단의 부속 건물로, 화려한 팔각 지붕을 가진 3층 건물이다. 현재 서울시 중구 소공동에 있는 환구단은 대한제국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문화유산이며,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외세의 침략이 절정에 달했던 조선 말기, 조선의 제26대 왕인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다가 나라의 자주독립을 주장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자 고종은 자주 국가로서의 면모를 세계만방에 알리기 위해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으로 돌아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정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었다. ▲ 석조대문 앞의 돌계단​ ▲ 석고(돌로 만든 북) | 돌로 만든 북이란 뜻으로, 측면에 화려한 용 무늬가 새겨져 있다. ​ ​ 환구단은 1897년 고종의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곳에..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사직단(社稷壇) ▲ 사직단 | 사적 제121호에 지정되어 있다. ▲ 홍살문 | 제단 주변을 둘러싼 담장에 네 방향으로 홍살문이 나 있다. ▲ 사직단 담장 | 홍살문이 설치된 두 겹의 담장으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다. 우리는 흔히 텔레비전에서 방영하는 역사 드라마에서 신하들이 왕에게 이런 말을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전하, 종묘사직이 위태롭습니다.” 여기에서 ‘종묘사직’이란 국가나 왕조 그 자체를 뜻한다. 종묘는 역대 왕들의 영혼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고, 사직은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인 사직단을 말한다. 이렇듯 종묘와 사직은 국가와 같은 뜻으로 쓰일 만큼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도 한양에 수도를 정하고 가장 먼저 경복궁과 함께 종묘와 사직단을 만들도록 하였다. 궁궐..
사회조사분석사 2급 - 독학으로 따기 1. 시험 개요 사회조사분석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서비스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주로 경영 분야와 관련된 자격증이다. 흔히 줄임말로 ‘사조사’라고 부른다. 본래는 경영, 경제, 통계 쪽이나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학 전공자들만 관심을 갖던 자격증이었고 소지자도 그다지 많은 편은 아니었는데 최근에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몇몇 공공기관이나 통계직 공무원 시험에서 가산점을 주는 자격증이 되면서 점차 응시자 수가 늘어나는 편이다. 급수는 1급과 2급으로 나눠지며 1급의 경우 3년간 실무에 종사하거나 2급 취득 후 2년간 실무에 종사해야 응시가 가능하므로 응시자 수가 많지 않은 편이다. 대부분 사조사 자격증을 딴다고 하면 2급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1급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2급에 대해서만 ..
우리나라 최대의 왕릉군, 동구릉 ▲ 홍살문 | 각각의 왕릉 입구에도 홍살문이 있지만, 동구릉 매표소를 지나 들어가면 이와 같이 커다란 홍살문이 버티고 있다. ▲ 재실 | 제관들이 제사를 준비하고 대기하는 곳이다.​ ▲ 동구릉 안내도 | 가장 안쪽에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이 있다. 워낙 여러 왕릉이 있어서 관람을 할 때에는 동선을 잘 정해야 한다. 동구릉 매표소를 지나 재실이 나오면 왼쪽 길로 들어서서 맨 왼쪽부터 '숭릉 - 혜릉 - 경릉 - 원릉 - 휘릉 - 건원릉 - 목릉 - 현릉 - 수릉 - 재실' 순으로 시계 방향으로 관람하는 것이 좋다. 오르막이 거의 없고 평탄한 길로 되어 있어 걸어서 약 2~3시간 정도면 충분히 관람할 수 있다. ​▲ 숭릉 | 18대 현종(1641~1674)과 원비 명성왕후(1642~1683)를 모신 쌍릉이다...

반응형